토끼파파
토끼파파
토끼파파의 자기개발/투자/기록/정보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하기
[1일차] 굴착 배우기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하기

[1일차] 굴착 배우기


학원 분위기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을 목표로 중장비 학원에서 첫 교육을 받았다. 1일차인 관계로 아침 일찍 (수업이 8시부터 시작하는 관계로 7시 30분 정도 도착하여 수강 등록 및 자부담금을 결제한 뒤에 카드를 태그하여 출석체크를 완료하였다. 전체 수강생은 나를 포함하여 10명이었다. 어린 친구들이 한 두세명 그리고 나머지는 40대~50대까지 다양했다. 


굴착기 이해하기

 굴착기의 기본적인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한 이론 교육이 있었다. 굴착기의 종류, 각 부분의 명칭과 기능, 안전 수칙 등을 학습했다. 첫날부터 바로 굴착기 탑승을 하여 실습을 진행한다고 안내 받았다. 굴착기는 주행을 위한 기존 차량 운전 핸들 외에 굴착을 위한 붐 / 암을 조절하는 레버가 추가적으로 있음을 알게 되었고, 우리가 탈 장비가 6W라는 것도 알게되었다. 참고로 굴착기의 6W 라는 명칭은 바퀴식 굴착기 (Wheel) 버킷 용량이 0.6m³ 인 것을 말하며 '공육'으로도 불린다고 한다.

 필기 시험을 봤음에도 굴착기 공부는 전무한 상태였기 때문에 전부 처음보는 내용들로 가득했다. 굴착기는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 하부 주행체: 궤도 또는 바퀴로 이루어져 굴착기의 이동을 담당
  • 상부 회전체: 운전실, 엔진, 유압 장치, 붐, 암 등이 장착되어 360도 회전하며 작업을 수행.
  • 작업 장치 (어태치먼트): 붐, 암, 버킷으로 구성되며, 유압 실린더를 통해 다양한 움직임을 만들어 굴착 작업을 수행함. 필요에 따라 브레이커, 크라샤, 리퍼, 집게 등 다양한 어태치먼트로 교체하여 사용.

레버의 조작 방법

 본격적으로 탑승에 앞서 눈으로만 봐도 골치 아픈 레버의 사진이 눈앞에 놓여졌다. 바로 레버의 조작방식인데 굴착기의 작업부를 조작하기 위해서는 왼손과 오른손으로 각각 레버를 붙잡고 각각의 실린더들의 행정운동을 조종하여 작동시켜야 한다. 바로 아래처럼....



  • 붐(Boom) 레버:
    • 전방 밀기: 붐을 들어 올렸다. 굴착기의 팔을 위로 뻗어 작업 높이를 확보하는 데 사용된다.
    • 후방 당기기: 붐을 내려 내렸다. 굴착기의 팔을 아래로 내려 굴착 깊이를 조절하거나 이동 자세를 취할 때 사용된다.
    • 좌우 기울임 (일부 모델): 붐을 좌우로 약간 기울여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 암(Arm) 레버:
    • 전방 밀기: 암을 뻗었다. 붐 끝의 작업 장치(버킷 등)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작업 범위를 넓힌다.
    • 후방 당기기: 암을 굽혔다. 작업 장치를 굴착기 본체 쪽으로 당겨 굴착 작업을 수행하거나 적재물을 끌어올릴 때 사용된다.
  • 버킷(Bucket) 레버:
    • 전방 밀기: 버킷을 덤프(dump)했다. 퍼담은 흙이나 자재를 쏟아낼 때 사용된다.
    • 후방 당기기: 버킷을 닫거나 퍼올렸다. 흙이나 자재를 퍼담는 기본적인 동작이다.
    • 좌우 회전 (일부 모델): 버킷을 좌우로 회전시켜 정밀한 작업에 활용될 수 있다.
  • 스윙(Swing) 레버:
    • 좌측 밀기: 굴착기 본체를 좌측으로 회전시켰다. 굴착 위치에서 적재 위치로 빠르게 방향을 전환할 때 사용된다.
    • 우측 밀기: 굴착기 본체를 우측으로 회전시켰다. 좌측 회전과 마찬가지로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굴착 전 준비과정

 굴착기에 탑승하면 안전벨트를 하고 시동을 건 뒤에 RPM 을 조정하여야 한다. RPM을 원하는 회전수 (우리는 보통 5단계로만 작업하였음) 로 위치시킨 후 작업 준비가 끝나면 좌측의 레버가 있는 핸들부를 아래로 "딸칵"소리가 날때까지 내려서 고정해준다. 레버가 고정되고 나면, 안전잠금레버를 회전하여 긴 부분이 앞쪽을 향하도록 위치시켜준다. 이렇게 하면 작업부가 동작이 가능해진다.



굴착실습

 실제 굴착기에 탑승하여 흙을 퍼보는 실습을 진행했다. 강사님의 지시에 따라 기본적인 굴착 과정을 단계별로 익혔다.

  1. 버킷 포지셔닝: 굴착하고자 하는 지점 위로 버킷을 정확하게 위치시켰다. 이때 붐과 암의 각도, 굴착 깊이를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2. 버킷 삽입: 버킷 레버를 당겨 버킷의 날이 흙 속으로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조작했다. 너무 깊거나 얕게 삽입되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3. 흙 퍼올리기 (Arm In & Bucket Curl): 암 레버를 당겨 버킷을 굴착기 쪽으로 끌어당기면서 동시에 버킷 레버를 당겨 흙을 퍼올렸다. 이 두 레버의 조화로운 조작이 효율적인 굴착의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4. 붐 상승 (Boom Up): 흙이 가득 담긴 버킷을 지면에서 들어 올리기 위해 붐 레버를 밀어 올렸다. 주변 장애물에 버킷이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 흙 쏟아내기 (Bucket Dump): 목표 지점에 도달하면 버킷 레버를 밀어 흙을 쏟아냈다. 버킷의 각도를 조절하여 흙이 원하는 위치에 정확하게 떨어지도록 연습했다.
  6. 원위치 (Return to Digging Position): 흙을 쏟아낸 후 다시 굴착 작업을 위해 붐, 암, 버킷을 초기 굴착 자세로 되돌리는 연습을 했다.

각 단계를 반복하면서 레버 조작의 감각을 익히는 데 집중했다. 처음에는 모든 동작이 서툴고 어색했지만, 강사님의 개별 지도를 받으며 조금씩 굴착 작업의 기본 흐름을 이해할 수 있었다.


요약

  1. 오늘은 첫 탑승이므로 스윙 / 주행은 없었다. (원래 굴착 실기과정은 주행이 없다.)
  2. 구분동작으로 진행했는데, 양쪽 레버를 각각 조정하는 것이 몸에 익숙하지 않아 힘들었다.
  3. 1인당 4분씩 타서 하루동안 총 5번 타니 집에 올 시간이 되어버렸다.
  4. 붐 내리고 > 암 펼치고 > 버킷 펴고 > 흙에 삽입하고 > 버킷 오므리고 > 암 당기고 > 붐 올리고 > 암 밀면서 버킷 접고 > 붐 올리고 > 암 당기고 > 붐 올리고
  5. 때로 글을 보는 것은 몸으로 익히는 것에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





  • 굴착기운전기능사자격 취득하기 시리즈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