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끼파파
토끼파파
토끼파파의 자기개발/투자/기록/정보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하기
[6일차] 버킷과 붐을 동시에 접기


굴착기운전기능사 자격 취득하기

[6일차] 버킷과 붐을 동시에 접기



배움의 소회


 내일 배움카드를 이용해서 주말마다 굴착기 강의를 듣기 위해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총 13번의 교육 중 벌써 절반인 6일차에 다다랐다.
 평일 직장에서 근무를 하고 주말마다 시를 넘어 학원에 와서 평생 타보지도 않은 중장비를 타고 있자니 소파에 편히 누워 티비보고 있던 내가 그립다.

굴착기 기능사 실기


 굴착기 기능사 시험의 실기는 크게 두가지로 나뉜다. 주행과 굴착.
이중 학원에서는 6일차가 되는 현재까지 굴착 실기 과정만 진행을 하고있다.
 그 이유는 아마도 굴착기의 조작 자체가 일반인들에게 익숙하지 않기도 하고 중장비를 다룬다는 것 자체가 어떤 낯설음에 대하여 가까워지는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일 것이다.







 굴착 시험은 6W로 불리는 포크레인을 굴착 지점인 구멍을 양쪽에 두고 굴착>스윙>배토>스윙> 다시 굴착한 뒤 이 과정을 4번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평탄화 작업을 하는것으로 끝이난다. 단 문제는 4분 내에 이 과정을 모두 끝내야한다는 것이다.
 즉, 4번 흙을 구멍에서 퍼서 180도 뒤의 구멍에 옮기고 평탄화 하면 끝이난다.

 

시간안에 들어오기


총 10명의 수강생중 현재 6일차에서 이 시간내에 여유있게 들어오는 사람이 없음은 당연지사. 참고로 첫날 한바가지 푸는데 4분이 넘게 걸린것 같다. 기본적으로 양손으로 암과 스윙, 붐 그리고 버킷을 조정하는 굴착기는 다른 운전장비에 비해 조작감도, 그 힘과 예민함도 남다르다. 익숙하지 않은 레버조작은 언제나 우리에게 디스코 팡팡을 선사한다. 바로 유압 실린더가 급조작되면서 그 반발력에 의해 혹은 버킷의 흙과 장비 밸런스의 무너짐으로 요동친다.

 처음 이를 경험했을때는 장비 크기뿐 아니라 그 힘에 압도되고, 이 큰 장비가 이렇게 위아래도 덜컹거릴 수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미 4일차부터 스윙작업을 진행했기에 오늘은 시간 단축에 필수인 동시조작을 진행한다. 기존 배토작업과 들어올릴 때 조작에서 버킷을 열고 붐을 내리는 작업을 각각 구분하여 진행했다면 오늘부터는 레버를 중간지점에 위치해 버킷 열림과 붐내림 그리고 버킷 닫힘과 붐 올림을 동시에 진행하는 것이다. 

 말이 쉽지... 평생 달고다닌 내 손과 팔이 아닌것 같은 느낌을 받는것은 같은 수강생들을 보면 나만이 겪는 문제는 아닌듯하다.

 왜 주위분들이 한살이라도 젊을때 취득하라는 것인지 이해가 되는것은 아마도 익숙함에 길들여져버리는 신체가 새로운 것에 대해 크게 저항하기 때문일것이다.

이대로 괜찮겠나!
 



  • 굴착기운전기능사자격 취득하기 시리즈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