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색 - 추억의 중식당

이름은 모르지만 맛은 남아있습니다.


지금은 없어져 버린 중국 음식점


 가끔 요즘 너무 맛이 없어진 중국 음식을 먹고 있자면 유난히도 입에 맛이 맴돌아 생각나는 집이 있습니다. 

 오랜 시간 맛을 낸 음식들이 아닌 일률화된 조리방법과 각종 기성 제품 및 소스들의 발달로 인해 이전보다 깊은 맛, 고유의 맛이 있는 식당들을 떠올리기 쉽지 않아졌습니다. 만약 그런 이유가 아니라면 풍족한 현실 사회 속 이런 음식들을 이전보다 쉽게 접할 수 있어 배가 부른 때문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어린 시절 그 무렵 중국 음식은 특별한 행사가 있을 때나 맛볼 수 있었던 음식이었습니다. 배달로 먹는 중국 음식은 굉장한 별미였었고, 집안에 이사를 하거나 친구들이 모이거나 가족이 다 모일 때나 먹었던 기억이 납니다.

 아쉽게도 기억에 남을 만큼 정신이 든 나이가 되었을 때는 이사 경험이 없어서 아마도 중국 음식을 먹을 기회가 인생에서 몇 번은 남들보다 적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배달 음식으로 먹는 경우도 드물었는데 중국 음식점에서 직접 요리를 시켜 먹는 경우는 더욱 드물었습니다. 제가 성장할 당시에는 학교의 졸업식이 있거나 큰 집안 행사가 있을 때는 그것을 축하하기 위해서 중국 음식점에서 식사를 했었던 문화가 있었습니다. 

 그중에서도 유독 기억에 남는 중국 음식점이 한 곳이 있습니다. 가끔 아버지께서는 가끔 기분이 좋아지실때면 이곳에 어린 저를 이끌고 가셨었습니다.

 그래봤자 그곳에 갔던 횟수는 아마 한 손으로 꼽을 정도였을 것입니다. 해당 중국 음식점에 방문할 때면 유독 동생이 같이 간 기억은 없고 혼자서 큰 키의 아버지의 뒤를 따라 말없이 걸었던 생각이 납니다.

 해당 식당은 집에서 꽤나 먼 거리에 떨어져 있었습니다. 그 당시 걸음으로도 30~40분 남짓은 걸어야 도착했을 정도였던 것 같습니다. 지금 다시 거리를 보면 성인 걸음으로도 20~30분은 족히 걸리니 가까운 거리는 아닙니다.

 중국 음식점이 인기였던 그 시절, 마음만 먹으면 쉽게 방문할 수 있는 집 옆의 중식당들을 제치고 그 먼 거리까지 걸어서 해당 음식점을 방문하는 것이 그 당시에는 그다지 마음에 들지 않았습니다.

 아마도 모든 것이 새로울 나이에 음식의 '맛'이 인생에 큰 행복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이었을 겁니다. 그당시 제게는 제 걸음으로 인한 힘듦의 크기가 음식 맛으로 얻을 수 있던 행복에 비해 컸던 시절이었습니다.

류산슬과 고량주


 해당 음식점은 한자 간판에 꽤나 낡은 인테리어를 가지고 있었으며, 온통 빨간색 배경과 황금색 문양 그리고 글씨로 된 장식들이 도배가 되어있던, 겉에서 보나 안에서 보나 중국인 또는 화교가 운영하는 것임에 분명했던 중국 음식점이었습니다. 기억 속 모습에 아마도 2층이었던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식당에 도착하면 한국말이 어눌한 꽤나 노령의 아주머니 한 분이 저희를 맞아주셨습니다. 아버지와는 안면식이 꽤나 있으신 듯 가벼운 인사를 주고받고는 주문을 받고 돌아가는 식탁에 간단한 밑반찬들을 세팅해 주셨습니다.

 그리고는 주방에 당시에는 이해할 수 없었던 외국어로 내용을 전달했습니다. 아마도 그것이 제가 태어나서 처음 들은 외국어이자 중국어였을 것입니다. 그러고보니 돌아가는 식탁도 이때 처음 본것이었겠습니다.

지금은 없어져버린 중국 음식점 진흥관의 밑반찬 세팅


 아버지께서는 항상 같은 메뉴를 주문하셨던 기억이 납니다. '류산슬' 과 '고량주' 한병. 류산슬은 해당 식당에서 맛보기 전까지는 한번도 듣지도 보지도 먹지도 못해봤었던 중국 요리였습니다. 여러 식자재가 들어가 있고 그 안에 대나무의 순인 죽순이 조리되어 들어가 있다는 것도 이 때 처음 알았습니다.


지금은 없어져버린 중국 음식점 진흥관의 류산슬


 미끄덩한 식감과 익숙하지 못한 식자재로 조리된 외국 음식은 어린 저의 흥미를 크게 끌지는 못했던 것 같습니다. 정과 인심이 넘쳐나던 그 시절, 요즘 요리되서 나오는 것과 다르게 이 음식점의 류산슬의 양은 제가 작았던 이유인지 정말로 사장님의 인심이 컸던 이유인지 많이도 나왔던 기억이 납니다.

 아버지를 마주하고는 말없이 먹어도 먹어도 끝이 보이지 않던 요리를 다 먹고 일어날 쯤이면 그 작은 고량주 한병에 기분이 살짝 좋아지신 듯 했던 아버지의 뒤를 따라서 쫄래 쫄래 집까지 또 열심히 걸어왔었던 것 같습니다.

 그렇게 그 식당에서 같은 메뉴, 같은 방식으로 3~4차례 같은 경험을 한 뒤 '류산슬'이 무슨 음식인지 익숙하게 될 즈음부터 학교에 묶여 지내는 시간이 많아졌습니다. 먼길따라 식당 방문하는 것보다는 빠르고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쪽으로 방향이 기울었고 자연스레 그 식당은 머릿속에서 잊혀졌습니다.

맺음말


 가끔 어떤 음식을 먹을지 고민하다가도 딱히 먹고 싶은 음식이 없을 때면 불현듯이 머릿속에 이때의 기억이 떠오릅니다. 크나큰 아쉬움이 남는 이유는 이미 없어져 버린 식당으로 맛볼 수 없는 어린 시절의 음식에 대한 추억일지 아니면 그 시절에 대한 그리움일지 모르겠습니다.

 그렇게 십수년간 이름을 몰랐던 중국 음식점을 추억의 저 편 어딘가에 꺼내어 기록해 봅니다. 해당 식당은 2015부터 2017년 그 사이 어딘가 문을 닫은 것 같습니다.

 성인이 되고도 세월이 한참 흐른 지금까지도 해당 음식점의 이름을 모르고 지내다가 갑자기 생각이 떠올라 어린 시절 걸었던 그 길을 더듬어 위치로 찾아냈으니 '어린 시절의 그 추억들은 생각보다 뇌리에 강하게 남는구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인천 주안의 '진흥관'


영업 당시 진흥관의 모습 (출처 : 카카오맵 2015)



현재 진흥관이 위치했던 건물 (출처 : 카카오맵 2023)





작성일 : 2025년 06월 24일
작성자 : Tokkipapa
웹주소 : www.tokkipapa.com

갱신일 : 갱신 없음

댓글